지엔티파마
-200
(-3.81%)
5,050원
커뮤니티
-
지엔티빅파마 2023.02.12-펌- 어느 주식블로그의 글92건
-
무면허운전 2023.02.03오아시스 상장된다고 합니다. 오아시스 상장된다고 합니다.14건
-
shinichi 2023.01.25지엔티파마 '넬로넴다즈' 동결건조분말 주사제 특허출원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209289?sid=101 지엔티파마 '넬로넴다즈' 동결건조분말 주사제 특허출원 입력2023.01.26. 오전 8:26 수정2023.01.26. 오전 8:27 이춘희 기자 지엔티파마의 뇌졸중 치료 신약 '넬로넴다즈' [사진제공=지엔티파마] 지엔티파마는 개발 중인 뇌졸중 신약 ‘넬로넴다즈’의 동결건조분말 주사제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특허는 넬로넴다즈의 동결건조분말 주사제 제조 방법, 제품 및 의약용도에 대한 것이다. 한국을 포함해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 국가에 출원됐다. 넬로넴다즈 동결건조분말은 우수한 성형성, 재용해성과 높은 투명도, 낮은 불순물 함량과 함께 안정성이 개선된 주사제다. 본격적인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 생산에 앞서 주요 의약품 시장에 특허를 출원했다. 앞서 2021년에도 넬로넴다즈와 유도체에 대해 미국 및 국제특허(PCT) 출원을 완료하고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받은 바 있다. 생략 넬로넴다즈는 안전성이 검증된 N-메틸 D-아스파르트산염(NMDA)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억제제이면서 동시에 강력한 활성산소 제거 작용으로 뇌졸중 후 뇌세포 사멸을 줄이는 다중 표적 뇌세포 보호 약물이다.현재 국내 24개 대학병원 뇌졸중 센터에서 발병 12시간 이내에 동맥 내 혈전제거술을 받는 중증 뇌졸중 환자 496명 등록을 목표로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현재 80%에 해당하는 396명의 환자가 등록돼 연내 임상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지엔티파마 '넬로넴다즈' 동결건조분말 주사제 특허 출원 51건 -
shinichi 2023.01.19[점프업바이오] 지엔티파마, '코스메슈티컬' 출사표…"바이오화장품 시장 선점" https://news.mtn.co.kr/news-detail/2023011916424184843 https://youtu.be/StrNXuvwFks [점프업바이오] 지엔티파마, '코스메슈티컬' 출사표…"바이오화장품 시장 선점" 머니투데이방송 주재용 기자 입력 2023-01-19 17:54:46 [앵커멘트] 기능성 화장품에 신약 물질을 접목해 의학적 기능을 강화한 화장품을 이른바 코스메슈티컬이라고 하는데요. 뇌질환 치료제 개발 기업인 지엔티파마가 최근 코스메슈티컬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지엔티파마는 신사업을 확장해 바이오 헬스케어 전문기업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입니다. 주재용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국내 최초로 반려견 치매 치료제를 출시해 바이오 업계에 큰 반향을 일으킨 지엔티파마. 지엔티파마가 이번엔 바이오 화장품인 라디페어를 출시하며 코스메슈티컬 시장에 출사표를 냈습니다. 희귀성 질환을 치료하는 혁신 신약 개발뿐만 아니라, 화장품 시장으로 영역을 넓혀 바이오 헬스케어 전문기업으로 거듭난다는 구상입니다. [곽병주 / 지엔티파마 대표이사: 우리가 국내를 목표로 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더욱 차별화된 코스메슈티컬, 기능성 화장품을 전 세계에 차곡차곡 진입할 예정입니다.] 라디페어에는 지엔티파마가 개발한 신약 물질 TFM이 들어 있어 일반 화장품보다 노화 방지 부문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유한양행과 업무협약을 체결해 판매에 돌입했고, 글로벌 시장에서는 미국 아마존을 통해 온라인 판매를 개시했습니다. [김대용 / 지엔티파마 스킨헬스 사업본부 이사: 기존에 가지고 있던 의약품의 원료를 활용해서 화장품에 접목을 했고, 그 제품들이 시장에 나오면서 소비자들의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오는 3월에는 지엔티파마가 현재 개발 중인 뇌졸중 치료제의 국내 임상 3상 결과가 나올 예정입니다. 지엔티파마는 코스메슈티컬 시장에서의 성과와 뇌졸중 치료제의 임상 결과 등을 바탕으로 올해 코스닥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
[점프업바이오] 지엔티파마, '코스메슈티컬' 출사표…"바이오화장품 시장 선점" 60건 -
shinichi 2023.01.11국내 기업중 알츠하이머 신약 개발 가시권에 접어든 곳은? https://n.news.naver.com/article/296/0000062138?sid=101 국내 기업중 알츠하이머 신약 개발 가시권에 접어든 곳은? 입력2023.01.12. 오전 7:05 바이오젠과 에자이기 공동개발한 일츠하이머 치료제 '레카네맙'을 미국 FDA가 지난 6일 (현지시간) 가속승인함에 따라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의 치매치료제 개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외에 지엔티파마는 알츠하이머병 등 퇴행성 뇌신경질환 치료제로 '크리스데살라진'을 개발 중이다. 아스피린과 설파살라진의 구조를 기반으로 항산화, 항염증 작용을 동시에 나타내는 이중 약리기전의 합성 신약 물질이다. 올해 상반기 국내외 임상 2상을 동시에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크리스데살라진은 알츠하이머병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약효가 입증돼 현재 반려견 치매치료제 '제다큐어'로 출시돼 동물병원에서 처방되고 있다. 한편, 세계보건기구(WHO)는 2019년 5500만명이었던 세계 치매 환자가 2030년에는 7800만명, 2050년에는 1억3900만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제약 전문 리서치 업체 코텔리스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시장 규모가 2020년 16억달러에서 2030년 57억달러, 2050년 200억달러(약 25조원)로 연평균 29%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기업중 알츠하이머 신약 개발 가시권에 접어든 곳은? 90건 -
shinichi 2022.12.29지엔티파마, 호흡기질환 치료제 '플루살라진' 미국·PCT 특허 출원 완료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4948664?sid=103 입력2022.12.29. 오전 9:54 수정2022.12.29. 오후 3:00 장충식 기자 만성폐쇄성폐질환 등 호흡기질환 모델에서 염증 조절·조직 보호 효과 입증 원본보기 【파이낸셜뉴스 용인=장충식 기자】 신약 개발 기업 ㈜지엔티파마가 차세대 염증 및 통증 치료제로 개발 중인 플루살라진이 미국 국제특허 출원을 획득했다. 29일 지엔티파마에 따르면 플루살라진이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천식 등 호흡기질환 신규 적응증으로 미국 및 국제특허(PCT) 출원을 완료했다. PCT 국제출원은 해외 특허 출원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한 국제 조약에 따른 제도로, 국제출원으로 156개 국가에 각각 출원한 효과를 발휘한다. ‘플루살라진’은 염증질환 및 통증 치료를 위한 다중표적 신약으로 위염, 장염, 췌장염 등 염증성 소화기 질환과 당뇨병성 통증 모델에서 탁월한 약효와 안전성을 보이고 있다. 이 과정에서 지엔티파마 원소정 박사 연구팀은 플루살라진 비임상시험에서 만성폐쇄성폐질환과 천식 동물모델에서 나타나는 치명적인 폐 조직 손상, 괴사, 염증이 플루살라진 경구 투여에 의해 유의적으로 줄어든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담배 연기, 직업적 유해가스 노출, 폐 감염 등으로 인해 기관지와 폐 실질에 만성적인 염증이 발생해 기도가 좁아지고 폐가 파괴되는 질환이다. 국제호흡기협회포럼(FIRS)에 따르면 전 세계 COPD 환자 수는 약 2억명으로 매년 320만명 정도가 사망하며, 천식 환자 수는 약 2억6200만명에 달한다. 지엔티파마 곽병주 대표는 “플루살라진을 전 세계 4억명 이상이 앓고 있는 호흡기질환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한 비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해 특허를 출원했다”며 “2023년 상반기에 임상 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신청해 신속하게 임상시험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엔티파마, 호흡기질환 치료제 '플루살라진' 미국·PCT 특허 출원 완료 71건 -
shinichi 2022.12.26라디페어 론칭되었습니다 아마존 오늘부터 판매시작 https://www.amazon.com/s?k=radipair&crid=1MV8NJW23OG22&sprefix=%2Caps%2C981&ref=nb_sb_ss_recent_2_0_recent
Amazon.com: radipair 60건 -
shinichi 2022.12.22라디페어 23년 1월 아마존 출시, 3월 국내 출시 유한양행에서 아마존 통해서 라디페어 화장품 판매 예정 23년1월 아마존 등록 현재 등록대기라 합니다 아마존이 1월출시 유한양행 국내시판은 3월입니다.60건
-
shinichi 2022.12.13Gedacure for cat이 3상 pivotal study진입완료 Gedacure for cat이 pilot study를 지나 pivotal study에 진입완료(3상)했습니다. 제다큐어 반려묘치료제출시가 머지않았군요 2상은 poc(개념증명)임상이라 하고 3상은 pivotal study(허가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연구)라 합니다. 지엔티애니멀헬스에서 확인가능합니다. 제다큐어 반려묘 치료제출시시 시장이 더커집니다 국내는 맛배기용 본식사는 해외입니다 Pivotal Clinical Trials: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ww.sofpromed.com/pivotal-clinical-trials-freguently-asked-questions/) 위 링크에 pivotal trial 에 대한 FAQ가 나오네요. 짧은 글이지만 그 중에 필요한 것만 간추리면 pivotal clinical trial 란 무엇인가? 신약이 FDA/EMA와 같은 식약청으로부터 시판 승인을 받기 위해 유효성을 증명하는 임상 시험 pivotal trial은 3상과 동일한 것인가? pivotal trial은 일반적으로 3상이다. 그러나 반드시 3상이 아닐 수도 있다. 예외적으로 임상 2상도 pivotal 시험으로사용될 수 있다. 월드아틀라스에 따르면 2012년 전세계 반려견의 수는 5.25억 마리였고, 현재는 9억 마리로 증가했다. 캘리포니아 대학의 데이비스 연구팀은 11-12세 반려견의 28%, 15-16세 반려견의 68%에서 인지기능장애가 나타난다고 보고했다. 제다큐어가 반려묘 인지장애증후군에서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되면 국내 250만마리, 전세계적으로 7억마리의 반려묘 주인과 노령묘를 키우는 이들에게 희소식이 될 전망이다. 곽 대표는 “선진국일수록 강아지보다 고양이를 반려동물로 기르는 경우가 더 많다”며 “고양이도 인지장애증후군에 걸리면 가족을 몰라보고 집을 지저분하게 하는데 원인 및 증상이 강아지, 사람과 똑같다”고 설명했다.40건
-
shinichi 2022.12.09금일자 지엔티파마 플루살라진 강력한 진통작용 논문. 금일자 지엔티파마 플루살라진 강력한 진통작용 논문. 실험쥐에서 2-아세toxy-5-(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벤조산(플루살라진)의 강력한 진통작용 https://www.dovepress.com/potent-analgesic-action-of-2-acetoxy-5-2-4-trifluoromethyl-phenethylam-peer-reviewed-fulltext-article-JPR Potent Analgesic Action of 2-acetoxy-5-(2-4 (trifluoromethyl)-phenethylamino)-benzoic Acid (Flusalazine) in Experimental Mice Authors Kim SS , Won S, Lee HE, Ryu SH, Choi DJ, Cho SI, Gwag BJ, Youn HY, Lee JH Received 16 August 2022 Accepted for publication 25 November 2022 Published 9 December 2022 Volume 2022:15 Pages 3869—3879 DOI https://doi.org/10.2147/JPR.S385617 Checked for plagiarism Yes Review by Single anonymous peer review Peer reviewer comments 2 Editor who approved publication: Dr Robert B. Raffa 번역 실험쥐에서 2-아세toxy-5-(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벤조산(플루살라진)의 강력한 진통작용 작가 Kim SS , Won S, Lee HE, Ryu SH, Choi DJ, Cho SI, Gwag BJ, Youn HY, Lee JH 2022년 8월 16일 수령 2022년 11월 25일 출판 승인 2022년 12월 9일 발행 권 2022:15 3869-3879 DOI https://doi.org/10.2147/JPR.5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