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엔티파마
정상
커뮤니티
-
shinichi 2023.07.18어제 최종회생계획안 제출완료 ^^ 굿입니다. 이제 관계인집회 기일잡히고나서 집회날 인가나고 종결입니다 그리고 지감적정수순이죠 ^^21건
-
shinichi 2023.07.11지엔티파마,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 ‘크리스데살라진’ 임상 2상 IND 신청 지엔티파마,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 ‘크리스데살라진’ 임상 2상 IND 신청 기자명이권구 기자 입력: 2023.07.12 08:19 중등도 치매 환자 144명 대상 약효·안전성 검증 다국적 임상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7074 팜뉴스=이권구 기자] 지엔티파마(대표이사 곽병주)는 퇴행성 뇌신경질환 치료제로 개발 중인 ‘크리스데살라진’ 임상 2상 시험계획서(IND)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임상 2상은 인지기능장애를 겪고 있으면서 뇌 아밀로이드 양전자 단층촬영(PET) 영상에서 양성으로 확인된 중등도 알츠하이머병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대상 환자는 이중 눈가림 방식으로 위약과 크리스데살라진 100mg, 200mg을 1일 1회, 26주 동안 복용하게 된다. 1차 유효성 평가는 26주째 알츠하이머병 평가 척도(ADAS-cog) 점수가 개선된 환자의 비율로 크리스데살라진의 약효를 검증한다. 2차 유효성 평가는 13주, 26주째에 인지기능, 일상생활능력, 신경정신행동, 노인우울척도 점수의 변화로 위약 대비 크리스데살라진의 약효를 확인한다. 임상시험 책임자는 인하대병원 신경과 최성혜 교수이며 국내외 10여개 치매 임상기관이 참여한다. 회사 측에 따르면 크리스데살라진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뇌프론티어 사업단 지원을 받아 치매 치료제로 발굴한 합성신약으로,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강력한 항산화작용과 mPGES-1을 억제해 염증인자인 PGE2 생성을 차단하는 소염작용을 동시에 갖고 있다.
지엔티파마,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 ‘크리스데살라진’ 임상 2상 IND 신청
42건 -
shinichi 2023.07.11금일자 법원공시 동그라미1번: 라디페어 제품 유한에 납품공급위해 허가신청했네요^^ 좋은신호입니다 동그라미2번: 약동학: 약물동력학(약력학, pharmacodynamics) 체내에 존재하는 약물이 수용체와 결합하여 발현되는 약효와 작용 부위에서 약물의 농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학문이다. 심정지치료제나 뇌졸중치료제 관련내용 같습니다^^ 약물이 체내에 쌓이지 않고 잘 배출되는지 검증 하는 추가 데이터를 확보하려고 하나봅니다. 미국 중국인을 대상으로한 1상자료는 있으나 한국인 데이터는 없으니 추가자료 보완인듯 합니다. 3상완료후 신약허가 준비인듯51건
-
shinichi 2023.07.10이제 최종회생계획안 제출후 관계인집회서 인가가 나올예정입니다 이제 최종회생계획안 제출후 관계인집회서 인가가 나올예정입니다. 의견거절사유인 부외부채 건은 어제자로 채권조사기간이 끝나서 소멸. 다음주 18일까지 최종회생계획안제출이니 빨리제출될가능성음. 위일정은 법원공시로 모두팩트. 인가후 종결뒤엔 회사계획대로 재감사후 적정계획입니다. 재감사 계약뜨면 게임끝. 어서 뜨길빕니다. 7월 심정지치료제 결과발표라고 기사로 이미 나온 팩트입니다. 심정지치료제시기도 중순에서 말사이라고하는 소문있습니다. 일정 얼마안남았습니다80건
-
shinichi 2023.07.06드디어 국내 뇌졸중치료제 모니터링 종료 되었습니다 모집완료서 종료로 변경되었네요^^ 식약처에문의해보니 회사나 CRO(임상수탁기관) 이 종료 데이터를 보고해야 종료 상태로 바꾼다 합니다.90건
-
떨리는청푸른삼겹살 2023.07.05소량 구매 희망합니다(친구간 안전거래 요청) 소량구매 희망합니다(친구간 안전거래 )50건
-
shinichi 2023.07.03[김철중의 생로병사] 반려견이 먹는 치매약 돌풍… 인간 환자도 궁금하다 [김철중의 생로병사] 반려견이 먹는 치매약 돌풍… 인간 환자도 궁금하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73431?sid=103 입력2023.07.04. 오전 3:03 노령견 다시 똑똑하게 만들고 제자리맴맴 서클링 현상도 줄여 인기 동물용 아토피 치료제·심장약도 인간이 쓸 수 있는지 연구 인간·동물·환경의 ‘원 헬스’ 시대… 생태계 전체로 인식 넓혀야 서울대 캠퍼스가 위치한 관악산 기슭에 수의대 동물병원이 있다. 로비에 들어서면 카페 같은 공간에 노란 빛 수액을 맞고 있는 동물 환자와 이를 안고 있는 보호자 모습이 보인다. 환자 반려견, 반려묘는 대개 아기 유모차에 태워져 온다. 보호자에는 70대 할아버지도 있고, 대형견에게 끌려다니는 20대 여성도 있다. 내과 진료실 앞 모니터에는 또리, 풍이, 라온 등 대기 환자 이름이 줄줄이 뜬다. 뽀미는 호출 소리에 보호자와 진료실로 들어간다. 개와 고양이는 사이가 안 좋은 견묘지간(犬猫之間)이라, 둘의 진료실은 분리되어 있다. 정형외과 처치실로 들어가면, 환자 한 마리에 수의사 3명이 달라붙어 있다. 혈압계를 앞다리에 감아서 혈류를 감지하는 도플러로 혈압을 잰다. 환자와 말이 안 통하니, 만지고, 눌러보고, 돌려 보느라 진찰 시간이 길다. 이곳에 3분 진료는 없다. 보호자들은 환자 이상 행동, 분변, 먹고 토한 것까지 동영상으로 찍어 온다. 입원실은 작은 컨테이너 박스 같은 구조다. 그 안에 산소 가스, 흡입기 등 각종 의료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동물은 처음 보는 남과 같이 못 지내기에 모두 1동물실이다. 이를 보자니, 생판 처음 보는 환자들과 4인실에서 섞여 지내는 사람들이 어색하게 느껴진다. MRI 검사실에는 뇌종양 반려견이 누워 있고, 신장 기능이 떨어지는 반려견은 투석실로 간다. 빈혈인 환자는 혈액원에서 사온 같은 품종의 같은 혈액형 피로 수혈을 받는다. 심장 초음파와 흉부 CT를 포함한 반려묘 건강검진 골드 프로그램은 190만원이다. 생략
[김철중의 생로병사] 반려견이 먹는 치매약 돌풍… 인간 환자도 궁금하다
42건 -
shinichi 2023.06.28지엔티파마 바이오플러스인터팩스코리아2023참가 https://www.bioplusinterphex.co.kr/ko-kr.html 지엔티파마 바이오플러스인터팩스코리아2023참가
BIX - BIOPLUS INTERPHEX KOREA
44건 -
shinichi 2023.06.27조기 진단부터 신약 개발까지…‘개르신’ 치매 시장 노리는 K-바이오 https://n.news.naver.com/article/243/0000046750?sid=101 조기 진단부터 신약 개발까지…‘개르신’ 치매 시장 노리는 K-바이오 입력2023.06.28. 오전 6:00 선모은 기자 반려견 치매 치료제 개발한 지엔티파마 대웅펫, 넥스모스 손잡고 임상 진입 속도 개발 기간 짧고 비용 적어…시장 매력 ↑ 반려견 치매 치료제 개발한 지엔티파마 대웅펫, 넥스모스 손잡고 임상 진입 속도 개발 기간 짧고 비용 적어…시장 매력 ↑ 반려견의 기대 수명이 높아지면서, 이들이 앓는 다양한 퇴행성 질환을 향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사진 게티이미지] [이코노미스트 선모은 기자] 반려견의 기대 수명이 높아지면서 각종 질환에 노출되는 반려견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반려견이 오래 살 수 있다고 해서 노화도 느려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나이 든 반려견이 앓을 수 있는 질환으로는 ‘인지 기능장애 증후군’(Canine cognitive dysfunction syndrome)이 대표적이다. 반려견의 뇌가 나이 들며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으로, 사람의 ‘치매’와 증상이 비슷하다. 미국의 수의학협회 등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1살 이상인 반려견의 15%는 인지 기능장애 증후군을 나타냈다.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은 14%에서 60%로 다양했으나 반려견이 나이가 들수록 발병률은 높아졌다. 11~12살인 반려견은 28%가, 15~16세인 반려견은 68%가 인지 기능장애 증후군을 앓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오래 키운 반려견이 주인을 알아보지 못하거나 방향 감각을 잃는다면 인지 기능장애 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다. 인지 기능장애 증후군을 앓는 반려견은 밤에 잠을 자지 않고 실내를 돌아다니는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문제는 인지 기능장애 증후군을 빠르게 발견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인지 기능장애 증후군을 노화의 과정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아서다.
조기 진단부터 신약 개발까지…‘개르신’ 치매 시장 노리는 K-바이오
30건 -
shinichi 2023.06.27기업회생 절차 밟는 지엔티파마…“신약 개발 일정 차질 무리 없다” 기업회생 절차 밟는 지엔티파마…“신약 개발 일정 차질 무리 없다” 제약 / 남연희 기자 / 2023-06-27 07:48:06 https://m.mdtoday.co.kr/news/view/1065604341100612 ▲ 지엔티파마 CI (사진= 지엔티파마 제공) [메디컬투데이=남연희 기자] 지엔티파마가 기업회생 절차를 밟게 되면서 뇌졸중 치료제 ‘넬로넴다즈’ 개발 일정에도 차질을 빚을 우려가 곳곳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하지만 회사 측은 올해 4분기 주요 결과를 확인하고 내년 하반기 국내 출시가 가능할 것이라며 이를 일축했다. 지엔티파마는 수원회생법원이 6월 22일자로 회생절차 개시가 결정됐다고 지난 23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회생채권·회생담보권 및 주식의 신고기간은 6월 22일부터 7월 3일까지이며, 회생채권·회생담보권 조사기간은 7월 4일부터 10일까지다. 회생계획안 제출기간은 7월 18일날까지다. 이번 회생 신청은 재정적 어려움에 따른 부채조정을 위한 것이 아닌 법인인감 관리 미흡으로 인한 우발 채무 등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회사 측은 “감사인과 의견거절 이슈를 해소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면밀히 검토한 결과, 법인인감 관리 미흡으로 인한 우발채무 이슈는 기업회생절차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명확한 방안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이어 “자본감소나 출자전환을 예정하고 있지 않다”며 “현재 상황에서 회사의 가치를 감소시키는 것 또한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이에 앞서 지엔티파마는 감사인인 삼일회계법인으로부터 2022년 회계연도 재무제표에 대해 의견거절을 받았다. 경영진의 법인인감 사용기록에 대한 적절한 내부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미비점으로 인해 부외부채의 존재 가능성과 우발상황과 관련해 충분하고 적합한 감사증거를 확보할 수 없었다는 것이 그 근거였다. 생략
기업회생 절차 밟는 지엔티파마…“신약 개발 일정 차질 무리 없다”
40건